[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8장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책의 8장 ‘거대한 표현을 잘게 쪼개기’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DynamoDB 페이징 처리 방법
오늘은 DynamoDB 페이징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작성을 해보려고 합니다.
각 DB 마다 페이징처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DynamoDB 역시 별도의 페이징 처리 방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AWS Credentials Spring 설정 방법
오늘은 새로운 프로젝트 코드 베이스 세팅을 하면서, DynamoDB 연동을 위해 AWS Credentials 설정 하면서 알게된 방법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7장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책의 PART TWO ‘루프와 논리를 단순화하기’ 7장 ‘읽기 쉽게 흐름제어 만들기’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6장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책의 6장 ‘명확하고 간결한 주석 달기’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5장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책의 5장 ‘주석에 담아야 하는 대상’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4장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책의 4장 ‘미학’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3장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책의 3장 ‘오해할 수 없는 이름들’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책]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1,2장
계속 읽던 책을 마무리 하지 못 하고 다른 책을 펼치게 되는것 같네요.
이번에는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라는 책을 읽으며 내용을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이번에는 반드시 완독 할 수 있기를 🤣
HTTP GET 메소드와 Body Request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하면서 여러가지 API 를 개발하고 있던 중 한가지 알게된 사실에 대해 기록을 하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다름 아닌, GET Method API 사용 시 Body Request 로 Json 요청 값을 넣은 API 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