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2편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인프런에 있는 데브원영님의 [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학습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Java] CompletableFuture
지난 포스팅에 이어 CompletableFuture 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이전 포스팅을 한번씩 읽고 오시면 CompletableFuture 를 왜 학습하게 되었는지 배경지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Async 로 시작되었던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마지막 포스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Spring] @Async 사용 방법과 주의사항
[Spring] ThreadPoolTaskExecutor 에 대한 짧은 지식
[Java] ExecutorService, Executors
[Java] ExecutorService, Executors
요즘 비동기관련 포스팅을 자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실무적으로 비동기 로직을 적용해 본적이 없었는데, 보다 보니 볼게 참 많은 것 같네요.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Async 를 이용한 비동기 방식과 ThreadPoolTaskExecutor 에 대한 짧은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Java 에서 제공하는 ExecutorService 와 Executors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pring] @Async 사용 방법과 주의사항
[Spring] ThreadPoolTaskExecutor 에 대한 짧은 지식
[Spring] ThreadPoolTaskExecutor 에 대한 짧은 지식
지난번 @Async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다 나온 ThreadPoolTaskExecutor 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pring] @Async 사용 방법과 주의사항
오늘은 spring 에서 제공하는 @Async 어노테이션을 통한 비동기 처리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강의]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1편
회사에서 Confluent 도입을 하며 kafka 에 대해 조금 더 이해를 해보고자 강의를 신청 했다가, 이제야 듣게 되어 내용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
수강하는 강의는 인프런에 있는 데브원영님의 [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입니다.
@RequiredArgsConstructor 와 @Qualifier 사용시 주의점
팀 자체 개선 프로젝트 진행 중 트러블슈팅을 하면서 알게된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이론상으로는 아무 문제 없이 구현이 되었어야할 이슈로 이틀간 삽질을 하여, 저 같은 삽질을 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포스팅을 합니다.
kotlin + Swagger 3.0 + spring boot 3.x 세팅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kotlin 프로젝트 세팅 과정 중 저를 힘들게한 swagger 설정 부분을 정리 하려고 합니다.
kotlin 을 이용한 DynamoDB 조회 방법
작년 한해 동안 만든 자체 프로젝트 언어를 Java 에서 Kotlin 으로 변환하기로 하여, 샘플 코드를 만들면서 삽질한 내용을 포스팅 해봅니다.
Kotlin 의 새로운 문법에 대한 적응도 쉽지 않은 상태에서, DynamoDB 조회 로직을 구현하면서 겪은 내용이며, 저와 같은 삽질의 시간을 보내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기록을 남겨두니 많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Test Code] thenReturn vs doReturn 차이점
요즘 팀 자체 개선 프로젝트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느라 이것저것 검색하며 하던 중 알게된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을 위해서 mocking 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특정 클래스를 mocking 하고, 해당 클래스의 메소드 실행시 저희가 예상하는 값을 리턴 하도록 설정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이때 사용하는 문법이 when(클래스.메소드(파라미터)).thenReturn(응답값) 을 주로 사용해왔습니다.